Ping 04/02/2023 .01: 씨언어의 장자 zig, rust, golang, c++ ???


최근에 재미로 zig 을 정말 재밌게 '읽었다'. 공부해보고 실제로 뭔가 코딩을 많이 해보거나 한 것은 아니고, 대체 어떻게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이걸로 만들라고 하는건지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에 해봤다.

zig으로 프로그램을 짜는게 궁금하던 부분은 haskell의 monad을 이용한 방식, 혹은 apl이나 prolog으로 실제프로그램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패러다임부터 다른 언어를 공부하고 생각해보는 것과는 조금 다를수도 있겠다. 어쨌든 그냥 imperative언어이니까.

오히려, zig을 어떻게 써먹어야 할지 궁금하던 지점은, c++의 스마트포인터와 move semantics등을 이해하는 것이나, rust의 borrowing checker, rc/arc등을 이해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 같다. 둘 다 이해하고 익숙해지면 그렇게 부담스럽지 않을거 같긴 하다.

나이브스아웃 1, 2편, 그리고 K드라마, K영화


“나이브스 아웃” 1편을 몇 년 묵혀 놓고 시청하지 않았었다.

최근에 넷플릭스에 2편인 “글래스 어니언"도 공개되어 연달아서 이틀 동안 시청, 정말 즐겁고 감동적이었다.

1, 2편 모두 출연배우들도 어이가 없게 화려한 영화이고, 그 배우의 그간의 쌓아놓은 내가 인식하는 통상적인 캐릭터를 잘 비트는 배역도 마음에 들었다.1

언제부터인가 아가사 크리스티 원작이거나 한 정통추리극이 많이 개봉하던거 같다. 최근에 다시 만드는 그런 영화들을 많이 시청하지는 못했다.

나는 추리극을 많이 본적이 없는거 같다. 아니면 내가 감상하는 방식이 추리물을 추리물으로 본 것이 아니라, 미스테리이거나 아니면 그냥 또다른 방식의 서사물이거나 블랙코미디처럼 봐왔기 때문인거 같다.

Ping 03/02/2023 .01: 블로그 디자인 수정


블로그를 내려놓았다가, 다시 글을 쓰고 생각들을 어느 정도는 공개를 하고 지내고 싶어져서 다시 열었다.

사용하던 테마를 수정해서 쓰기로 하고, CSS을 여기저기서 복붙해서 적용해보고, 갈무리 웹폰트도 적용해서, 오히려 원본 테마보다 더 가볍게 적당히 만들어봤다.

색상도, 외양과 기능 디자인 모두 어느 정도 내 취향에 맞게 꾸며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