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책상에서 유선랜 환경


개인환경을 조금 특이하게 사용하는데, 그 이유와 방식.

why: 유선랜? (무선랜 대신)

키보드/마우스 입력이 가장 부드럽게 전달되어서 유선으로 연결해서 사용한다.

x2x으로 연결하거나, ssh-x11-forwarding으로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만 현재 자리에서 그대로 사용할 때에 네트웍 연결속도가 딜레이가 적어야 쾌적해서. 1

why: x11? (wayland 대신)

요즘 리눅스/bsd 데스크탑 기본설치하면 wayland으로 세팅하는 경우도 많은데, 네트웍을 통해서 ssh-x11-forwarding 1 사용하거나 x2x 사용하기는 아직 부족한거 같아서, 나는 그냥 x11 사용함.

거기에 xdotool 같은 gui-automation/scripting이나 warpd 같은 키보드를 마우스으로 편안하게 쓰도록 해주는 xtest이나, qjoypad 처럼 2 게임패드/조이스틱을 편안하게 마우스/키보드으로 매핑해서 쓰는게 나는 많은데 모두 x11만 지원하거나, 아직은 x11에서만 쓸만한 수준으로 동작해서.

News 08/03/2023 .02 : reactjs, rust, zig, hiring, nes


"리액트가 날 인질으로 잡고 있어요"

https://emnudge.dev/blog/react-hostage

…말해 뭘할까 싶은데. :see_no_evil:

포스팅 자체는 react, hooks 같은 것들의 complexity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오히려 흥미롭게 생각하는 것은, 과거 한국에서 '퍼블리셔'라고 하던 사람들이 어떻게 되었는가 생각해보며, 함께 지금의 '프론트엔드 개발자', 혹은 '앱 개발자', '리액트 개발자',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들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상상해본다.

Ping 08/03/2023 .01 : 전자책읽기


linux에서 전자책 편안하게 읽는 방법들 간단하게 몇가지 팁들만 나열, 별로 내용은 길게 늘여 쓰지 않으려고:

  1. linux, 그중에서도 가벼운 하드웨어와 단순하게 잘 동작하는 배포판.

    • 여러가지 불필요한 군더더기 없고, 패키지들이 조금 오래된 버젼이어도, 안정적으로만 동작하면 상관 없음.
    • 그래서, debian stable -or- testing 쓰면 속이 편함.
    • 하드웨어는 raspberry pi 3/4 둘 다 좋았다. 1 …특히 전력소모도 거의 없고, 딱 모니터 연결해 놓고 팬소음 거의 없이 쾌적하게 책을 읽기 좋다.
  2. calibre 책파일 관리, 읽기 모두 만족스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