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g 26/02/2019
게임: 발더스게이트EE, ‘원숭이섬의 비밀’ SE + SteamPlay, 등등
아주 예전에 발더스게이트2을 열심히 했었는데, 스팀에 Enhanced Edition들 올라와있었다. 발더스게이트1, 2 모두. 시간이 될때마다 조금씩 플레이 중.
새로 UI이나 그래픽 요소들 등등 리마스터 한건지 훨씬 좋아진거 같다.
원숭이섬의 비밀: Special Edition 이것도 시간날때 플레이. ScummVM 으로 옛날 그래픽으로 다시 해도 좋겠지만, 오히려 애니메이션이나 그래픽 다시 그린게 나는 더 마음에 들어서 이쪽이 좋은거 같다.
Unavowed. 이런류의 어드벤쳐 꾸준히 만드는 “WadjetEyeGames"이 내 취향에 잘 맞는걸 계속 만들고 있는거 같아서 기뻤다.
…NetworkManager + dnsmasq으로 인터넷공유 만들기
필요성, 궁금함, 현재 상황
- 메인 데스크탑을 무선랜으로 인터넷에 연결하고 사용함.
- 다른 기기들도 모두 기본적으로 무선으로 LAN접속.
- 다 좋은데, 메인 데스크탑 <-> 라즈베리파이 접속할때 ssh 접속도 느린거 같을때가 있음.
- 무선랜 접속이 많고, 블루투스 등등 다른 간섭도 많을거고,
- 어쨌든 조금 물리적으로 거리가 있는 무선공유기까지 갔다 오는거니까.
- 그래서 사용 안하고 있는 데스크탑의 내장 유선 랜포트로 인터넷연결을 공유하는 Private network을 만들어서 유선으로 연결해보기로 했다.
- 정말 체감이 빨라질지 궁금했고
- 직접 수동으로 설정하는게 거의 없거나,
- 내가 사용하고 있는 NetworkManager에서 쉽게 설정이 가능할거 같았다. - https://wiki.archlinux.org/index.php/NetworkManager#Sharing_internet_connection_over_Ethernet
진행과 추가적인 설정
- 그냥 nm-applet 사용해서 wired connection에 인터넷 공유를 체크한게 설정 전부.
- dnsmasq 패키지만 설치하고, 별도로 systemctl으로 enable/start한건 없음. (NetworkManager에서 자동으로 관리)
- 잘 동작함. ㅎㅎ
- 추가적으로, Private Network에 접속하는 호스트의 MAC 어드레스에 IP주소를 고정해서 접속이 편하도록 설정했다.
MAC주소에 고정IP 할당하기
- dnsmasq의 DHCP 설정을 추가한다.
/etc/NetworkManager/dnsmasq-shared.d/static-ips.conf
파일을 작성했다.- 별도의 재시작 없이, 파일 저장하고, 그냥 유선연결을 끊었다가 다시 연결하면 끝.
- 나머지는 NetworkManager이 다 자동으로 처리.
설정파일의 내용은 1:
…Ping 07/02/2019
Golang 사랑
회사일로 Golang을 다시 잡고 쓰게됐다.
예전에도 잠깐 썼었는데1, 이번엔 그냥 더 오래 진지하게 필요에 의해서 쓰게됐다.
지금 일터에서도 필요에 의해서 작은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할 일이 있어서 쓰다가 아예 서비스 코드에 적용을 하려 일하고있다.
많은걸 더 깊이 생각하고 익히는 좋은 계기로 꾸준하게 사용하고 있고, 만족스럽다. 대부분의 경우에. 그리고 Emacs와 연동도 좋고 언어 자체의 설계나 그런점들도 너무 좋은거 같다.
GC이 있는 언어를 최근에는 꺼리다가 다시 사용하니까 좋은것 같아. 그냥 문법적은 모호함이 없고 단순함, 머리에 쉽게 기억할만한 규칙들, 혹은 아예 어떤 규칙도 기억할 필요가 없도록 만들거나 하는게 얼마나 설계에 좋은지 깨닫는다.
…